2. 재태크

벨류에이션이 뭐에요 ?

Think n Fun 2025. 3. 5. 22:38

주식투자에서 벨류에이션(Valuation)이란?

주식투자에서 **벨류에이션(Valuation)**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이야. 쉽게 말해, "이 회사의 주식이 지금 가격보다 더 비싸야 하는지, 아니면 더 싸야 하는지"를 분석하는 거지. 투자자들은 벨류에이션을 통해 주식이 적정 가격인지 판단하고,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어.

✅ 벨류에이션 방법

벨류에이션 방법은 크게 절대적 가치 평가상대적 가치 평가로 나눌 수 있어.

🔹 1. 절대적 가치 평가 (Intrinsic Valuation)

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돈을 기준으로 적정 가치를 직접 계산하는 방식이야.

1) DCF (할인현금흐름, Discounted Cash Flow)

  • 기업이 앞으로 벌어들일 돈(현금 흐름)을 미리 예측해서, 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방법이야.
  • 주로 대형 IT기업이나 안정적인 배당주 분석에 많이 사용돼.

2) 배당할인모형(DDM, Dividend Discount Model)

  • 배당을 주는 기업이라면, 앞으로 받을 배당금을 기준으로 주식의 적정 가격을 계산하는 방법이야.
  • 배당이 꾸준한 금융주나 배당주 분석에 적합해.

🔹 2. 상대적 가치 평가 (Relative Valuation)

비슷한 기업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평가/고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야.

1) PER (주가수익비율, Price to Earnings Ratio)

  • 주가를 기업의 순이익과 비교해서 계산하는 지표야.
  • PER이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이 있고, 높으면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보고 비싸게 평가하는 거야.

2) PBR (주가순자산비율, Price to Book Ratio)

  •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대비 얼마나 비싼지 보는 지표야.
  • PBR이 1보다 작으면, 자산 대비 주가가 저평가된 걸 수도 있어.

3) EV/EBITDA (기업가치 대비 수익 비율)

  • 기업의 전체 가치(EV)를 실제 벌어들이는 돈(EBITDA)과 비교하는 방법이야.
  • 같은 업종 내에서 기업을 비교할 때 많이 사용돼.

🔹 3. 시장가치 평가 (Market-Based Valuation)

  •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파악하는 방법이야.
  • PER, PBR, EV/EBITDA 등을 시장 평균과 비교해서 적정한지 판단해.

✅ 어떤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될까?

PER & PBR → 가장 쉽고 많이 사용돼 (주가가 저평가/고평가인지 빠르게 확인 가능)
EV/EBITDA → M&A나 기업 비교 분석에서 활용
DCF → 정교한 분석이 필요할 때 사용 (단, 가정에 따라 결과가 크게 변할 수 있음)

💡 실제로 투자할 때는 PER, PBR, EV/EBITDA 등의 상대적 가치 평가를 먼저 확인하고, DCF로 세부 분석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.